[NETWORK] OSI 7Layer
ISO에서 제정한 개방형 시스템 간의 상호연결 모델로 분산된, 이기종 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상호 호환을 위해 필요한 표준 아키텍처
-
용어에 관한 정리
-
Node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
Host : Server인 노드
-
End-node : 통신의 양 끝단에 해당되는 노드
-
Intermediate Node : End-Node 사이에 패킷 중계를 해주는 노드
-
Link : 노드 사이의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통신 경로
-
Physical Layer
-
물리적 장치의 전기적, 전자적 연결에 관한 계층
-
Protocol Data Unit는 bit
-
장비로는 들어온 신호를 모든 포트로 전달하는 장차인 허브와 전송신호를 증폭하여 다시 전달하는 리피터가 있음
-
1계층의 허브는 dummy hub로, 패킷을 연결된 모든 노드에 전송하므로 스니퍼를 통한 스니핑이 가능함.
-
NIC의 기본 동작 모드에서는 자신을 목적지 주소로 하는 패킷 만을 확인할 수 있으나, Promiscuous mode일 경우 모든 패킷을 스니핑할 수 있음
Data Link Layer
-
Node-to-Node Delivery
-
인접한 노드 간의 신뢰성이 있는 프레임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
목적지 노드에 도달하기 위해서 물리적인 주소인 MAC과 LAN 상의 논리적인 계층인 LLC가 필요함
-
PDU는 frame
-
프로토콜은 Ethernet, TokenRing, FDDI
-
신뢰성이 있는 전송을 위한 기능으로는 흐름제어와 오류제어, 회선제어가 있음
-
흐름제어는 송신노드가 수신노드의 처리속도를 고려하여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 Stop-wait과 Sliding Window이 있으며, 전자는 수신 측의 ACK를 받을 때까지 대기하는 방식이며 후자는 ACK를 반기 이전에 수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여러 프레임을 전송
-
오류제어는 BEC와 FEC로, 전자는 송신 측에서 데이터 전송 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부가정보를 함꼐 전송한 후 오류 발생시 재전송을 요청하는 방식이며 후자는 송신 측에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부가정보 뿐만 아니라 수정이 가능한 정보까지 전송하는 방식
-
회선제어는 둘 이상의 장치가 하나의 링크에 연결되는 방식(회선 구성 방식)과 연결된 두 개의 장치 간에 신호 흐름의 방향(전송 방식)
-
네트워크 장비로는 스위치와 브릿지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