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j] 나무자르기 2805(python)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805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805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512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654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8911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1736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946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713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780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9461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8870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7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6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5430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759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697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620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7576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667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178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926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012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0026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7395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2904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7478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2919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9012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5464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874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1866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764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7219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1399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789
문제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1047
이번 정리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 관한 것이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메모리를 적절히 사용하여 수행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프로그래밍 기법을 의미한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할 경우, 동적 할당을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에 메모리를 할당한다는 점에서 ...
이번 정리는 탐색에 관한 것이다. 순차탐색은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찾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for와 같은 반복문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으나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이진탐색은 정렬된 리스트라는 제약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검색범위를...
이번 정리는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순서대로 나열하는 법인 정렬에 관한 것이다. 정렬은 단독 문제로 나오기도 하지만, 보통 그리디 알고리즘과 연계되서 나오는 경향이 있다. 정렬 기법은 문제에 따라 달라지므로, 각각의 특징을 알아야만 한다.
이번 정리는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인 탐색에 관련된 알고리즘인 DFS, BFS에 서전지식에 관한 것이다. 선형 자료구조에 해당하는 Stack, Queue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번 정리는 그리디 또는 탐욕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사전에 알고리즘을 외우지 않아도 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리스트는 다량의 데이터를 정리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항목들이 차례대로 저장되어 있으며 이는 순서 또는 위치를 가진다.
큐는 first-in first-out(FIFO)의 특징을 가진 선형 리스트이다. 알고리즘적으로는 대기열, 인터넷 전송 패킷 처리 등의 시뮬레이션을 풀이하는 데에 자주 쓰이며, BFS(깊이우선탐색)를 하기 위해선 반드시 알아야 하는 자료구조이다.
스택은 Last-in first-out(LIFO)의 특징을 가진 선형 리스트이다. 알고리즘적으로는 괄호 검증, DFS, 후위표기식 변환 및 계산에 주로 사용되며, 브라우저의 히스토리 기능과 함수 호출에서 이 구조를 발견할 수 있다.
제귀는 알고리즘이나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이다. 알고리즘이 제귀적으로 되어 있는 경우인 팩토리얼 함수 계산, 피보나치 수열, 이항계수 계산, 이진 트리 알고리즘, 이진 탐색, 하노이 탑 문제에 주로 쓰인다.
자료구조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참고자료는 천인국 교수의 C언어로 쉽게 쓴 자료구조이며 C와 Python으로 모두 구현할 예정이다.
특정 항목에 사용자가 뭔가를 입력할 수 있게 만든 것
HTML
기술 블로그를 시작합니다.
SELECT